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제로니모'의 줄거리, 제작 의도, 실제 역사

by stellamagna 2024. 5. 5.
반응형

1993년에 개봉된 영화 제로니모는 월터 힐(Walter Hill)이 감독한 서부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1919세기말 아파치 지도자였던 제로니모(Geronimo)의 백인들에 대한 저항을 그립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이 영화의 흥미진진한 줄거리와 제작 의도, 그리고 실제 역사에 대해 탐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줄거리

남서부의 키라카화 아파치족은 미국 정부의 보호 구역 지정에 저항하는 인디언들로, 조지 크룩(George Crook) 장군이 지휘하는 제6기병대와의 전투에서 패배합니다. 인디언들의 저항이 끝나갈 무렵, 오직 한 아파치 전사만이 저항을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의 이름은 멕시코인들이 명명한 제로니모(Geronimo)입니다. 그러나 그 역시 백인과의 싸움에 한계를 느껴 투항의사를 밝힙니다. 한편 육군사관학교를 갓 졸업한 데이비스(Davis) 소위는 제로니모 일행을 산 칼로스에 있는 군부대로 송환해 오라는 명령을 받습니다. 경험 많은 찰스(Charles) 중위와 아파치 출신의 정찰대원과 함께 데이비스가 길을 떠납니다. 두 사람 앞에 나타난 제로니모는 찰스에게 호감을 느낍니다. 그가 인디언의 말을 유창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관습과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때문입니다. 전설적인 아파치 용사 제로니모가 항복해 오자,, 조지 크룩 장군은 그에게 동정적인 어조로 말합니다. 서부의 희망인 아파치는 이제 백인의 보호를 받을 것이라고 말입니다. 장군은 성대한 환영식을 베푼 뒤, 제로니모 일행을 보호구역으로 보냅니다. 데이비스는 제로니모의 요청으로 그곳의 감독관으로 파견됩니다. 그는 오백 명이 넘는 인디언들이 농사도 잘 안 되는 황폐하고 협소한 구역 안에서 어렵게 사는 것을 목격합니다. 인디언들은 매달 나오는 정부의 구호품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들은 왜 자신들이 이 척박한 땅에서 살아야만 하는지 불평을 하고, 인디언 무당은 불만에 찬 이들을 향해 싸움을 부추기는 예언을 합니다. 전쟁을 예고하는 종교집회를 갖는 인디언들에 대해 불안감을 지닌 군대는 무당을 살해하기에 이릅니다. 이에 인디언들과 제로니모가 크게 격분하고 곧이어 양측 간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집니다. 결국 제로니모는 절반의 인디언들을 데리고 멕시코 방면으로 달아나게 됩니다. 이제 찰스와 데이비스 두 장교가 제로니모 일행을 추격하기 시작합니다. 두 장교는 백전노장 알 시버(Al Sieber)라는 직업 군인과 함께 멕시코로 향합니다. 한편 멕시코에서 제로니모는 멕시코인들과 전투를 벌이고, 이 과정에서 인디언들은 제로니모에게 불평을 늘어놓습니다. 전쟁보다는 평화를 택하는 편이 낫다는 불평입니다. 결국 군대와의 협상을 희망하는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로니모는 멕시코 국경을 넘어온 군대 대표 크룩과 회동을 갖습니다. 이 만남에서 크룩은 제로니모에게 약속 위반을 했다며 항복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군대를 몰고 올 것이라 경고합니다. 결국 항복하기로 협상을 했으나, 인디언들 간에는 다시금 항복을 거부하는 분위기가 팽배해집니다. 제로니모는 다시금 태도를 바꿔 투쟁을 계속하게 됩니다. 결국 크룩 장군은 불명예로 퇴임하고, 신임 사령관으로 넬슨 마일즈(Nelson A. Miles) 장군이 부임해 옵니다. 그는 병사들에게 반드시 제로니모를 잡을 것이라고 공언합니다. 그는 찰스와 데이비스 그리고 아파치 정찰대원들을 제외시킨 채 대규모 추격군을 파견합니다. 그러나 5개월에 걸쳐 샅샅이 뒤졌음에도 제로니모 일행의 행방을 찾지 못합니다. 결국 마일즈는 다시 찰스를 불러서 제로니모를 만나 협상안을 제시하라고 명령합니다. 찰스는 데이비스와 알 시버 그리고 아파치 정찰대원 한 명을 대동한 채 먼 길을 떠납니다. 그러던 중 야키족 인디언들이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몰살당한 것을 목격합니다. 알 시버와 아파치 정찰대원은 직감적으로 현상금 사냥꾼들의 소행이라는 것을 파악합니다. 왜냐하면 멕시코 정부도 아파치를 잡기 위해 현상금을 내걸었고, 이에 백인 사냥꾼들이 돈을 받기 위해 인디언들의 머리 가죽을 벗겨 갔기 때문입니다. 추적하는 도중에 일행은 사냥꾼들을 만납니다. 사냥꾼들은 아파치 정찰대원을 보고 죽이려 들고, 결국 양측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집니다. 바로 이 총격전에서 알 시버는 치명상을 입습니다. 그는 자신이 아파치를 구하다 죽을 줄은 몰랐다는 말을 남기며 숨을 거둡니다. 이후 찰스는 아비리빼산에 있는 제로니모를 만나게 됩니다. 결사항전을 주장하는 제로니모에게 그는 차분하게 이미 전쟁이 끝났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자기가 가진 십자가를 평화의 상징이라며 제로니모에게 건네줍니다. 바로 이때 제로니모는 죽은 아내와 자식들에 대한 복수를 하기 위해 많은 사람을 죽였지만 공허함만 남았다고 솔직히 고백합니다. 결국 제로니모와 34명의 아파치는 마일즈 장군에게 투항하기로 결정합니다. 이제 제로니모 일행과 아파치 정찰대원들은 기차에 올라타 플로리다로 이주를 시작합니다. 정찰대원은 제로니모의 판단이 옳았다며 아파치의 항복을 아쉬워합니다. 창밖을 바라보며 제로니모가 침울한 표정으로 중얼거립니다. 이제 아파치의 시대는 끝이 났다고 말입니다. 인디언들의 구슬픈 가락이 흘러나오는 가운데 기차가 달리는 장면을 마지막으로 영화는 막을 내립니다.

제작 의도

감독 월터 힐은 미국사를 공부한 감독입니다. 그러나 그는 영화에 대한 조사를 계기로 영화사에 심취하게 됩니다. 이후 그는 샘 페킨파(Sam Peckinpah)가 감독하고 스티브 맥퀸(Steve McQueen)이 주연한 겟어웨이(The Getaway)의 시나리오로 성공을 거둡니다. 이후 그는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하는 감독으로 성장합니다. 이 영화는 남북전쟁이 끝난 직후의 혼란상을 배경으로 한 서부극입니다. 제작진은 영화에 남부와 북부 사이의 지역 갈등과 계층 갈등을 담아냅니다. 특히 가정이 해체되면서 정신적으로 방황하는 주인공 남자들이 폭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사실적으로 설득력 있게 잘 그려냅니다. 한편 이 영화는 미국 역사서에 일부 잘못 서술된 제로니모에 관한 기록을 정정하고자 하는 수정주의적 관점을 지향합니다. 그럼에도 이 영화 역시 백인의 입장에서 변명과 마지못한 반성을 하는 수준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알 시버는 자신이 아파치라도 제로니모처럼 군인들과 싸웠을 것이라며 원주민의 입장을 두둔하지만, 동시에 미군이야말로 인디언이 만난 최고의 친구라고 말합니다.

실제 역사

제로니모의 인디언 명칭은 고야탈라이(Goyathlay)입니다. 이는 하품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의 부족인 아파치는 수 세대 동안 미국 남서부에 있는 자기 영토를 지키기 위해 스페인과 북아메리카의 백인들에게 격렬히 저항했습니다. 제로니모도 이러한 선조들의 영향을 받아 자기 영토를 침범하는 백인이나 멕시코인들과 끊임없는 전투를 벌였습니다. 그러던 중 자신의 어머니와 처자식 등 일가족 모두가 멕시코인에게 죽임을 당했고, 이를 계기로 그는 무서운 복수극으로 맞섰습니다. 1874년 들어서, 미국 정부는 4천여 명의 아파치를 애리조나 중동부의 사막지대인 산카를로스의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강제이주시켰습니다. 여기서 제로니모는 일종의 유배 생활을 하던 동족들을 이끌고 약탈과 살인을 감행하여 남서부 지역을 극도의 혼란으로 이끌었습니다. 이후 영화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지적인 인물인 애리조나 군관구 사령관 조지 크룩에 의해 평화가 정착되고, 1881년에는 제로니모가 스스로 항복했습니다. 그러나 제로니모는 다시금 30여 명의 남자와 100여 명의 여자를 이끌고서 인디언 보호구역을 탈출했습니다. 크룩 사령관은 일단의 책임을 지고서 넬슨 A. 마일즈 장군으로 교체됐습니다. 이후 제로니모 일행의 소탕 작전에 5천 명 이상의 백인 군인과 5백 명의 인디언 정찰 부대가 동원됐습니다. 결국 188693일에 애리조나의 스켈리턴 케니언(Skeleton Canyon)에서 열렸던 항복회담에서 제로니모가 최종적인 항복을 선언합니다.

결론

제로니모는 남북전쟁 이후 미국 사회의 문화적 갈등, 불의, 아메리카 원주민과 백인 사이의 복잡 관계를 다룹니다. 영화는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할리우드 작품에서 아메리카 원주민의 관점을 묘사하려는 시도로 호평을 받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작품은 전설적인 아파치 지도자의 저항과 식민지화 및 강제 이주에 맞서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투쟁에 대한 더 넓은 맥락을 엿보게 합니다.

반응형